말초신경과 근육이 접하는 부분의 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질환인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오늘은 중증근무력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반드시 피해야 할 약제
- 알파-인터페론
- 보톡스; 전신 감염이 아니라 이상운동질환, 다한증 치료를 위해 국소적 주사에도 중증근무력증이 심해질 수 있는 보고가 있습니다.
- D-페니실아민; 윌슨병, 납중독, 류마티스관절염에 쓰이는 약으로 중증근무력증 유발 가능합니다. (상품명; 알타민캡슐)
- 텔리스로마이신; 매크로라이드 계열 항생제 (상품명; 케텍정)
주의하여 써야 하는 약제
- 신경근접합부 차단제; 주로 수술시 전신마취때 흡입마취관련하여 사용하는 약제입니다. 숙시닐콜린, 투보큐라린
- 부정맥약제; 퀴니딘, 프로카인아미드, 퀴닌
- 항생제
-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 겐타마이신, 카나마이신, 네오마이신(주로 연고), 토브라마이신(주로 점안액), 스트렙토마이신
- 플루오로퀴놀론 계열; 플로삭신(floxacin)이 들어간 항생제.
- 매크로라이드 계열; 에리스로마이신(상품명; 에릭캡슐), 아지스로마이신(상품명; 아마신, 지스로맥스, 아제토, 아지로신, 아지맥스, 아지탑스 등)
- 베타-차단제; 프로프라놀롤(상품명; 인데놀, 테프라정)
- 칼슘통로 차단제; 주로 혈압약제에 많습니다. 디핀으로 끝나는 약제.
- 마그네슘; 주로 제산제나 변비약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리튬;
- CT 혹은 MRI 조영제; 최근에는 위험성이 낮습니다.
이외에도 다른 약제에 대해서 중증근무력증이 나빠질 가능성이 충분히 있기 때문에, 근력증상을 주의하여 지켜보면서 약제를 복용하시길 부탁드립니다.
참고자료
1. Bradley. Neurology in Clinical Practice, Ch 109. Disorders of neuromuscular transmission